혈당 조절이 중요한 당뇨병 환자는 과일조차 먹기가 조심스럽다. '단맛' 강한 과일이 혹여 혈당을 올릴까 봐서다. 하지만 적당한 과일 섭취는 오히려 당뇨병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과일 속 식이섬유, 비타민, 플라보노이드 등 영양성분이 몸속 세포를 공격하는 활성산소를 제거해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을 낮춘다. 당뇨병 환자가 먹으면 좋은 과일을 선별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u1Dso/btsIHYLkwAs/dckkiuXNkdcQ7xFECdBSfK/img.jpg)
낮은 혈당 지수 기준으로 과일 골라야
당뇨병 환자는 혈당 지수가 낮은 과일을 먹는 게 좋다. 혈당 지수는 포도당 50g을 먹었을 때의 혈당이 상승한 면적을 100점 기준으로 비교한 값이다. 혈당 지수가 높을수록 빠르게 혈당이 상승한다는 의미다.
혈당지수 70 이상은 고혈당 식품, 56~69는 중혈당 식품, 55이하는 저혈당 식품으로 나눈다. 혈당지수가 낮은 과일로는 체리(22), 자몽(25), 배(35.7), 사과(36), 석류(37), 키위(39), 포도(48.1) 등이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FpEIY/btsIHYLkwBf/kP70vfvyEEMQFKHyPf7uU0/img.jpg)
단단할수록 혈 당 지수 낮을 가능성 커 눈앞에 있는 과일들의 혈당지수가 얼마인지 정확히 알기 어려울 땐, '단단한 정도'를 기준으로 과일을 고르는 게 좋다. 단단할수록 혈당 지수가 낮을 가능성이 크다. 과육이 단단한 과일은 섬유질이 질기고 촘촘해 체내 소화·흡수 속도가 더디다. 복숭아를 예로 들면, 비슷한 당도를 갖고 있더라도 딱딱한 복숭아가 물렁한 복숭아보다 혈당을 더디게 올린다.
![](https://blog.kakaocdn.net/dn/tgEUU/btsIGblkh7g/MLKhNkswPqV6t3nHk5PpXK/img.jpg)
물렁물렁한 과일을 먹고싶다면 키위와 포도를 추천한다. 뉴질랜드에서 식빵 두 장을 먹은 그룹과
식빵 한 장 반에 키위 한 개(100g)를 먹은 그룹을 비교했더니, 키위를 함께 먹은 그룹이 식빵만 먹은 그룹보다 혈당이 16% 덜 오른 것으로 드러났다. 그린 키위 속 풍부한 섬유질이 혈당 개선에 도움을 준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Z7UML/btsIHo4OV1N/TvCxbnxD8ecEZNlHatye80/img.jpg)
포도에 함유된 항산화 성분 레스베라트롤은 당뇨망막병증 발병 위험을 낮춘다.
국내 당뇨 환자 1555명을 분석했더니, 한 달에 2~3회 포도를 먹은 그룹이 한 달에 1회 미만으로
포도를 먹은 그룹보다 당뇨망막병증 발병률이 46%, 실명 위험이 있는 당뇨망막병증 발병률은 64% 낮았다. 레스베라트롤은 포도의 알맹이보다 껍질에 더 많이 함유돼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caynUf/btsIIAJ20uk/9DOV3glhiGz7VEl2dAkj1k/img.jpg)
식사 30분 전 먹는 게 좋아
혈당 조절을 위해서는 과일을 후식으로 먹기보다 식사 30분 전에 먹는 게 좋다.
과일을 식후에 바로 먹으면 혈당이 급격하게 오를 수 있다. 식전에 과일을 먹으면 과일 속
섬유질이 포만감을 주고 추후 식사로 섭취하는 탄수화물 등의 소화·흡수 속도를 늦춘다.
과일은 아침이나 점심 중 한두 번만 먹는 것이 좋고, 성인 주먹의 반 정도 양이 적당하다.
'지식인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에 걸리게 하는 최악의 습관 (0) | 2024.07.21 |
---|---|
양배추 위에 좋다지만… '이 병' 있다면 주의 (0) | 2024.07.21 |
바나나 vs 초콜릿 혈당대결 의외의 결과 (0) | 2024.07.21 |
수면자세별 의심 질환 (0) | 2024.07.19 |
음주 vs 흡연, 무엇이 더 몸에 해로운가에 대한 전문가 답변 (0) | 2024.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