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혹,
abs때문에 사고가 났다는 둥...
abs가 제동거리를 길게 한다는 둥...
이런 비슷한 내용에 글들이 올라옵니다.
abs가, 제동 시에 바퀴가 잠기는 것을 방지해서 조향을 가능하게 한다...
정도는 누구나 알고 있는 내용인데,
왜? 제동거리가 길어진다고 생각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이쯤에서 제 93회 어린이 날을 맞이하야, abs에 대하여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abs가 제동거리를 길게 한다???
그렇지 않습니다.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마찰력은 최대정지마찰력보다 작습니다.
해서, 제동 시에는 바퀴가 잠기기 직전이 제동력이 가장 좋습니다.
abs는 바퀴가 구를듯 말듯한 그 지점을 아나로그적이진 않지만 디지털적으로,
just 최대정지마찰력까진 아니더라도 거기에 근접한 제동력을 보장해 줍니다.
그럼, 그렇기 때문에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 컨트롤을 잘하면 abs보다 좋지 않겠냐...고 하시겠지만,
그건, 꿈속에서나 가능한 얘기입니다.
예를들어, F1경기를 보다보면,
직선주로에서 300km/h로 신나게 달리다 커브를 앞두고 브레이킹을 하지만,
오바페이스를 했는지 타이어에 연기가 나면서 락이 걸리고, 코스이탈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됩니다.
이 상황을 자세히 보면,
처음 300 -> 150km/h정도에선 락이 걸리지 않습니다.
150km/h이하에서 락이 걸리는데, 왜인고 하면,
속력이 높은 상태에선 당연히 높은 제동력이 필요하고, 상대적으로 브레이크 컨트롤이 어느정도 쉽지만,(대충 쌔려 밟아도 락이 걸리지 않지만)
속도가 줄어들면 그 최대정지마찰력의 효과를 보기위해 상당히 미세한 컨트롤이 필요합니다.
(여기에 더해, 300km/h에서 풀브레이킹을 때리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타이어나 디스크 패드 등의 온도가 달라져,
그에따른 브레이크 성능이나 특성이 변하면서 컨트롤이 더 어려워 지는것도 있겠지만)
최상의 노면상태와 시스템에서 운전하는 세계최고의 f1드라이버도 락에 대한 컨트롤을 완벽하게 못하는데,
삼천리 전국 방방곡곡 다양한 노면상태에서 운전하고, 잘해야 풀브레킹 1년에 한번 해볼까말까한 일반적인 운전자가
f1드라이버를 능가하는 먼가를 기대하느니, 차라리 집에가는 길에 로또나 사보시기 바랍니다.
ex)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았다 풀었다 하면서 abs와 같은 효과를 내는건 어떤가?
허접한 abs시스템이 초당 7~10회정도 브레이킹을 반복하던가...아마 그럴겁니다.
네. 풀브레이킹을 초당 10회정도 할 수있으면, abs없어도 되겠네요.
ps) 사실, 여러분한테만 살짜쿵 알려주는 건데 말입니다......
abs가 non-abs보다 제동거리가 길어지는 경우가 있긴 있습니다.
그거슨 말입니다.
눈이 무릅까지 쌓이거나, 백사장 같은 경우인데,
이런 상황에서 브레이킹 시 락이 걸리면
바퀴 앞쪽으로 눈이나 모레가 쌓이고, 이것이 장애물이 되어서 자동차가 앞으로 나가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만약, abs가 작동된다면 바퀴 앞쪽으로 눈이나 모레가 쌓이지 않아 상대적으로 제동거리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눈이 아주 그냥 겁나게 많이 오거나, 백사장이 아니라면 무조건 abs가 제동거리가 짧구나 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Bosch ABS - The advantage
abs vdc 있고 없고의 차이
CESVI comprueba diferencias entre ABS y freno convencional
빙판길에서의 차이
'지식인 >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에어컨 냄새 제거 방법 (0) | 2015.05.29 |
---|---|
보험 실효 되신 분들 보험 부활 할때 보험사 말 믿지 마세요. (0) | 2015.05.23 |
자동차 부품가격 거품 가장 심한 회사는? 1080p (0) | 2015.02.13 |
전세계 공통 자동차 계기판 경고등 안내 (0) | 2015.02.10 |
[카미디어] SUV 5대 언덕오르기 테스트 (0) | 2014.12.27 |